말씀의 초대

저녁노을 2025/07/04 21:59 (93)
  이 게시글이 좋아요(1) 싫어요

연중 제14주일(7/06)


오늘 전례

오늘은 연중 제14주일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세례로 우리를
부르시고 하느님 나라를 전하는 데에 몸 바쳐 일하게 하십니다.
우리가 언제 어디서나 하느님의 말씀과 평화를 드러내도록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사도의 용기와 복음의 자유를 주시기를 청합시다.

제1독서
<보랴, 내가 예루살렘에 평화를 강물처럼 끌어들이리라.>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 66,10-14ㄷ

10 예루살렘을 사랑하는 이들아,
모두 그와 함께 기뻐하고 그를 두고 즐거워하여라.
예루살렘 때문에 애도하던 이들아,
모두 그와 함께 크게 기뻐하여라.
11 너희가 그 위로의 품에서 젖을 빨아 배부르리라.
너희가 그 영광스러운 가슴에서 젖을 먹어 흡족해지리라.
12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보라, 내가 예루살렘에 평화를 강물처럼 끌어들이리라.
민족들의 영화를 넘쳐흐르는 시내처럼 끌어들이리라.
너희는 젖을 빨고 팔에 안겨 다니며
무릎 위에서 귀염을 받으리라.
13 어머니가 제 자식을 위로하듯 내가 너희를 위로하리라.
너희가 예루살렘에서 위로를 받으리라.”
14 이를 보고 너희 마음은 기뻐하고
너희 뼈마디들은 새 풀처럼 싱싱해지리라.
그리고 주님의 종들에게는 그분의 손길이 드러나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나는 예수님의 낙인을 내 몸에 지니고 있습니다.>
▥ 사도 바오로의 갈라티아서 말씀입니다. 6,14-18

형제 여러분, 14 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는 어떠한 것도 자랑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말미암아,
내 쪽에서 보면 세상이 십자가에 못 박혔고
세상 쪽에서 보면 내가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15 사실 할례를 받았느냐 받지 않았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새 창조만이 중요할 따름입니다.

16 이 법칙을 따르는 모든 이들에게,
그리고 하느님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평화와 자비가 내리기를 빕니다.
17 앞으로는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마십시오.
나는 예수님의 낙인을 내 몸에 지니고 있습니다.
18 형제 여러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이
여러분의 영과 함께하기를 빕니다. 아멘.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의 평화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를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1-12.17-20

그때에 1 주님께서는 다른 제자 일흔두 명을 지명하시어,
몸소 가시려는 모든 고을과 고장으로 당신에 앞서 둘씩 보내시며,
2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님께 일꾼들을 보내 주십사고 청하여라.
3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4 돈주머니도 여행 보따리도 신발도 지니지 말고,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5 어떤 집에 들어가거든 먼저
‘이 집에 평화를 빕니다.’ 하고 말하여라.
6 그 집에 평화를 받을 사람이 있으면
너희의 평화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르고,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되돌아올 것이다.
7 같은 집에 머무르면서 주는 것을 먹고 마셔라.
일꾼이 품삯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 집 저 집으로 옮겨 다니지 마라.

8 어떤 고을에 들어가든지 너희를 받아들이면
차려 주는 음식을 먹어라.
9 그곳 병자들을 고쳐 주며, ‘하느님의 나라가
여러분에게 가까이 왔습니다.’ 하고 말하여라.
10 어떤 고을에 들어가든지 너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길에 나가 말하여라.
11 ‘여러분의 고을에서 우리 발에 묻은 먼지까지
여러분에게 털어 버리고 갑니다.
그러나 이것만은 알아 두십시오.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습니다.’
12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그날에는 소돔이 그 고을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
17 일흔두 제자가 기뻐하며 돌아와 말하였다.
“주님, 주님의 이름 때문에 마귀들까지 저희에게 복종합니다.”
18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19 보라, 내가 너희에게 뱀과 전갈을 밟고 원수의
모든 힘을 억누르는 권한을 주었다.
이제 아무것도 너희를 해치지 못할 것이다.
20 그러나 영들이 너희에게 복종하는 것을 기뻐하지 말고,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을 기뻐하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제1독서와 복음을 통하여 선포되는 오늘의 주제는 ‘평화’입니다.
제자들이 하는 선포의 핵심, 곧 복음의 요약은 평화입니다.
평화는 ‘평온하고 화목함’을 뜻합니다. 평온은 평안한 것이고,
화목은 ‘함께’ 누리는 것으로 ‘공동체성’을 띱니다.
‘평안함’의 반대말은 ‘불안’, ‘두려움’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돈주머니도 여행 보따리도
신발도 지니지 말라고 하시며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루카 10,3) 같다고도 하십니다.
어떻게 평온할 수 있겠습니까? 그 비결은
그들이 선포하는 메시지 안에 있습니다.
“하느님의 나라가 여러분에게 가까이 왔습니다”(10,9).
하느님 나라는 하느님께서 다스리시고 돌보시며,
영원한 생명까지 보장해 줍니다.

하느님을 믿고 그분께 의탁하는 데서 평화가 옵니다.
이 평화는 세상의 평화와 다릅니다.
가진 것 없고, 내세울 것 없어도 두렵지 않습니다.
제자들의 존재 자체가, 삶의 방식 자체가 선포입니다.
‘화목’의 반대말은 ‘전쟁, 싸움, 갈등’으로,
이는 결핍의 상황일 때 생깁니다.
제자들의 상황 자체가 바로 결핍의 상황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결핍은 마음에서 옵니다.
많은 재산을 가졌으면서도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탐욕’과 ‘분쟁’이 나올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가진 것이 별로 없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탐욕’의 반대말은 ‘만족’이기 때문입니다.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사신 가난한 삶을 스스로 따르는 이들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가난을 통하여 연대하고 함께함으로써 부요해짐을 배웠습니다.
가난하지만 함께 뭉침으로써 화목과 부요를 얻습니다.
우리도 예수님의 참된 제자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김태훈 리푸죠 신부)

-출처 매일 미사-

김은영(모니카)
카카오톡에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서 공유하기 페이스북에서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에서 공유하기 트위터에서 공유하기 Blogger에서 공유하기
김시몬41 (2025/07/04 22:29)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아멘, 감사합니다.
 
요셉 (2025/07/05 22:02)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로그인 하셔야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여기를 눌러 로그인하세요.
 

목록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마리아사랑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