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아들은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6,14-25
14 그때에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로
유다 이스카리옷이라는 자가 수석 사제들에게 가서,
15 “내가 그분을 여러분에게 넘겨주면
나에게 무엇을 주실 작정입니까?” 하고 물었다.
그들은 은돈 서른 닢을 내주었다.
16 그때부터 유다는 예수님을 넘길 적당한 기회를 노렸다.
17 무교절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스승님께서 잡수실 파스카 음식을
어디에 차리면 좋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18 그러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도성 안으로 아무개를 찾아가, ‘선생님께서 ′
나의 때가 가까웠으니 내가 너의 집에서 제자들과
함께 파스카 축제를 지내겠다.′ 하십니다.’ 하여라.”
19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분부하신 대로 파스카 음식을 차렸다.
20 저녁때가 되자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식탁에 앉으셨다.
21 그들이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2 그러자 그들은 몹시 근심하며 저마다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기 시작하였다.
2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나와 함께 대접에 손을 넣어 빵을 적시는 자,
그자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4 사람의 아들은 자기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그 사람은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
25 예수님을 팔아넘길 유다가
“스승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네가 그렇게 말하였다.” 하고 대답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유다 이스카리옷은 예수님을 팔아넘기기로
작정하고 수석 사제들에게 먼저 말을 건넵니다.
예수님의 몸값으로 고작 은돈 서른 닢을 받은 유다는
예수님과 다른 사도들 앞에서 아무런 내색도
하지 않고 있다가 최후의 만찬에서
“스승님, 저는 아니겠지요?”(마태 26,25)라고
묻는 뻔뻔함마저 보입니다.
유다는 예수님을 처음부터 배신할 만큼 악한 이는 아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이들”(마르 3,13)로
열두 사도를 뽑으실 때 선택하실 만큼 예수님을
충실히 따르는 이였지만 점점 돈과 탐욕에 사로잡혀
주님에게서 마음을 돌리고 맙니다.
유다의 배신은 한순간의 선택이 아니라 점차 타락하여
마음이 변한 결과라는 점에서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유다가 배신할 것을 미리 아셨지만,
끝까지 기다려 주십니다. 그에게 선택할 자유를
주시고 마지막 순간까지 그를 사랑으로 대하십니다.
나약한 우리가 세속적인 욕망에 붙잡혀 있을 때도
주님께서는 우리를 기다리시며 돌아오기를 바라십니다.
유다와 베드로 모두 주님을 떠나는 잘못을 저질렀지만,
그 둘의 마지막은 달랐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을
모른다고 부인한 뒤 회개하고 돌아왔지만,
유다는 절망에 빠져 스스로 파멸을 선택하였습니다.
우리가 나약함으로 유혹에 빠져 있을 때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 줍니다.
“너희는 맛보고 눈여겨보아라, 주님께서 얼마나 좋으신지!”
(시편 34[33],9)
우리가 주님께서 얼마나 좋으신지를 제대로
헤아릴 수 있도록 우리 마음을 살펴봅시다.
깨어 기도하면서 주님 아닌 다른 것에 매이지 않도록,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회개하며 주님께
돌아가 새롭게 시작하는 믿음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동훈 안드레아 신부)
-출처 매일 미사-
김은영(모니카)